본문 바로가기

[study]이론정리/JAVA25

이론_17. 열거형 /* ◎ 열거형(Enumeration Type)은 어떠한 것의 종류가 의미론적으로 참과 거짓이 아닌 두개 이하로 나누어 지거나, 세가지 이상으로 나누어 질때 사용한다. (주로 성별,국가,광역시 이름...) ◎ 열거형의 명명법은 파스칼 케이스를 따르고,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그 자체가 타입이된다. ◎ 수동으로 객체화할수 없고 열거형이 가지는 열거된 인자들이 그 값이 되는데, 이때 이 값들은 정적이고 읽기 전용인 열거형 타입의 객체이다. public enum [열거형 이름]{ [인자,...]? } - 열거형의 인자들은 콤마(,)로 구분하여 여러개 적을 수 있다. - 단,인자들 간에 같은 이름을 가지는 것이 있어서는 안 된다. - 앞서 얘기했듯이 인자들은 정적이며 읽기 전용이다. ◎ 모든 열거형 인자는 정적임으.. 2024. 3. 6.
이론_16. 예외 /* 예외타입 - throw Exception; 예외 객체 - throw new Exception(); ◎ 예외(Exception)를 포함하는 자바 언어에서 발생할수 있는 모든 오류의 타입은 Throwable(java.lang.Throwable) 클래스를 상속받는 모든 것들을 의미한다. -(16) 예외 (1).png 그림 참조 ◎ throws,throw,catch 대상이 되는 모든 타입(혹은 객체)은 java.lang.Throwable 을 상속 받는다. ◎ java.lang.RuntimeException 을 상속받는 모든 예외(Exception)는 빌드(Build)전까지 예외 스코프 및 유효성 검사를 하지 않는다. ◎ 그런 이유로 java.lang.RuntimeException 을 상속 받는 모든 예외를.. 2024. 3. 6.
이론_15. 기타 메서드 /* ◎ Scanner - Scanner(java.util.Scanner) 클래스는 파일 및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클래스이다. 주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한다. -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생성자(Constructor)의 전달 인자로, InputStream 타입의 객체인 System.in을 전달해야 한다. [비정적 메서드(객체(인스턴스) 메서드)] - next() :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반환한다. - nextBoolean() : 사용자가 입력한 논리값(boolean)을 반환한다. - nextByte() : 사용자가 입력한 정수(byte)값을 반환한다. - nextDouble() : 사용자가 입력한 실수(double)값을 반환한다. - nextFloat() : 사용자가 입력한.. 2024. 3. 6.
이론_14. Double 클래스 /* ◎ Double(java.lang.Double) 클래스는 실수와 관련된 기능 및 정수 값 자체(객체)로도 작동한다. ◎ 실수 값을 받되, (간혹) 고의적으로 null 값이 지정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면, double 대신 Double 타입을 사용하기도 한다. ◎ MAX_VALUE : 실수(double) 타입이 가질수 있는 가장 큰 값이다. ◎ MIN_VALUE : 실수(double) 타입이 가질수 있는 가장 작은 값이다. ◎ NaN : 숫자가 아님(Not a Number)에 대한 값이다. 구현은 0 을 0 으로 나눈 값으로 초기화되어 있다. -정적인 상수가 맞으나 a/an은 어퍼스네이크의 예외로 본다고 생각하면 된다. ◎ NEGATIVE_INFINITY : 음의 무한수에 대한 값이다. 구현은 -1 .. 2024. 3. 6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