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study]이론정리/Spring Boot32 Spring MVC - 폼유효성체크 17> 폼 유효성 체크 (1) 개요 - 사용자 입력 폼의 데이터 유효성 검사 의미. ex> 필수사항(null허용 유무,...), 날짜(미래날짜만 가능), 값의 길이 n 개 이상, .... (2) 구현 방식 - html 속성 이용 - JS 이용 ==> html 및 JS 는 전부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하는 방법이다. 클라이언트에서 JS 비활성화 시키거나 보안 이슈 발생 가능성이 높음. - Spring Boot 이용 ==> 서버에서 유효성 체크하는 방법이다. (3) 적용 가. 의존성 설정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rter-validation 4.0.0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.. 2024. 7. 3. Spring MVC - webjar 16> webjar # 현재 사용했던 방식 - jquery 사용 - bootstrap 사용 CDN 방식 링크로 사용 ==> 버전이 변경 또는 네트워크 이슈로 사용이 힘들수 있음 # 적용 방식 - jquery 와 bootstrap 를 의존성 설정해서 사용하자. webJar의 jQuery 경로 /META-INF/resources/webjars/jquery/3.7.1/jquery.min.js 최종적으로 사용 경로: webJar의 bootstrap 경로 /META-INF/resources/webjars/bootstrap/5.3.3/css/bootstrap.min.css /META-INF/resources/webjars.. 2024. 7. 3. Spring MVC - 국제화(I18N: Internationalization) 15> 국제화(I18N: Internationalization) - 로케일(locale) 에 따라 화면의 언어를 다르게 랜더링이 가능하다. 다국어 처리가 가능하다. - Spring 이 특정언어를 선택하는 방법 ==> 기본적으로 LocaleResolver 를 이용해서 Locale 를 인식하여 원하는 특정언어를 선택 가능. 가. AcceptHeaderLocaleResolver - 요청 헤더값을 이용해서 locale 정보를 얻음. - Accept-language 헤더값 이용. -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임. 나. CookieLocaleResolver - 쿠키를 이용해서 locale 정보를 저장 및 얻음. - setLocale("ko|en"); 다. SessionL.. 2024. 7. 3. Spring MVC - 예외처리 14> 예외처리 - Controller에서 예외발생시 예외처리하는 방법임. (1) 기본 @GetMapping("/errorPage") public String errorPage() { logger.info("logger:MainController:{}", "/errorPage 요청");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("IllegalArgumentException 발생됨"); } => SpringBoot는 자동으로 Whitelabel Error Page를 제공한다. 이것이 boot의 특징인 auto configuration 이다. spring-boot-autoconfigure-2.7.18.jar 담당함. (2) 발생된 예외를 auto c.. 2024. 7. 3. 이전 1 2 3 4 ··· 8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