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1일차 추가 및 요점>
* 타켓컴포넌트
요청 URL :
https://
http://서버IP:port번호/타켓
http://서버IP:port번호/폴더/타켓
http://210.100.100.3:8080/test.html
- port 번호
Apache 웹서버(80)
tomcat 컨테이너(8080)
MySQL(3306)
Oracle(1521)
* html / css/ js -> 서버쪽에 저장되지만 실행은 웹브라우저인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됨.
* html ( hyper text markup language )
- hyper text
- markup language : 정보표시용 태그( <> ) 의미, 태그명은 정해져있음.
- xml ( eXtendsible Markup Language )
: 태그명을 임의로 지정가능.
추가로 특정태그로 사용함을 규칙으로 정할수도 있음.( *.dtd, *.xsd )
-> 용도: 데이터 저장
-> 특징: 플랫폼(OS, 프로그래밍)에 독립적
-> 단점: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메타데이터(meta data)가 필요하게 됨.
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JSON( JavaScript Object Notation ) 을 사용함.
* html 기본구조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==> 계층구조가 생김
아래구조를 DOM(Document Object Model ) 트리라고 부름 ( ******* )
html ( 루트태그: root tag )
|
head body
| |
title link script p h1 span
|
"hello"
==> html 다운받아서 웹브라우저가 브라우저 메모리에 DOM 트리를 생성한다.
그리고 랜더링한다.
나중에 css 또는 js 이용해서 DOM 을 접근하여 스타일 및 DOM 처리(삭제,수정,추가 등..) 를 할수 있음.
'[study]이론정리 > HTML & CSS &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2일차 - 시멘틱 태그, 사용자 입력, form, img, iframe, 특수문자 (0) | 2024.04.22 |
---|---|
HTML 2일차 - table, list, span (0) | 2024.04.22 |
HTML 1일차 - a, 링크, 경로 (1) | 2024.04.18 |
HTML 1일차 - header, p, br, hr, 텍스트포멧 (0) | 2024.04.18 |
HTML 1일차 - title, style, script (1) | 2024.04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