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Programming/MariaDB10

Maria DB 이론_ 09. 트랜잭션 /* ◎ 트랜잭션(Transaction)은 두개 이상의 DML 쿼리에 대해 단 하나라도 실행에 실패한 경우 동일한 트랜잭션 컨텍스트 내에 있는 이전의 실행 결과를 취소하기 위해 사용한다. ◎ 하나의 실행 단위는 주로 실행 시간 차이가 없다시피 하고 하나의 서비스 로직이라는(추상적인) 범위 내에서 지정한다. ◎ 자바 언어를 이용한 트랜잭션 구현의 예는 아래와 같다. try (Connection connection = DatabaseUtil.getConnection()){ connection.setAutoCommit(false); // 자동 커밋 해제 try{ // DBMS CRUD // 할일 하기 connection.commit(); // 모든 쿼리가 정상 작동한 후 commit 호출 } catch (SQ.. 2024. 3. 6.
Maria DB 이론_ 08. 제약조건 /* ◎ 제약조건(Constraint)은 테이블이 가지는 열의 구조상 삽입될 수 있는 레코드를 특정 조건하에 제한하여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한다. [제약조건의 구조] ◎ 제약조건은 아래의 구조로 정의할 수 있다. CONSTRAINT [`제약 조건 이름`]? [제약 조건 종류] ([`대상 열`,...]) [기본 키(주키,Primary Key,PK)] ◎ 제약 조건 키워드 : PRIMARY KEY ◎ 테이블이 가지는 주 축이될 열(들)이다. ◎ 하나의 테이블은 한 개 이상의 열을 하나로 묶어 기본 키로 설정할 수 있으나, 하나의 테이블이 여러개의 기본 키를 가져서는 안된다. ◎ 레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하는 열이 있다면 그 열을, 없다면 주로 순번(엄밀히 얘기하면 순번은 X) 을 의미하는 in.. 2024. 3. 6.
Maria DB 이론_ 07. 함수 /* [일반 함수] - ABS(x) : x 의 절댓값을 반환한다. - MOD(x, y) : x 를 y로 나눈 나머지이다. x % y 혹은 x MOD y 와 같다. - POW(x, y) 혹은 POWER(x, y) : x 의 y 제곱을 반환한다. - SQRT(x) : x 의 제곱근을 반환한다. - CEIL(x) 혹은 CEILING(x) : x 를 정수부까지 올림하여 반환한다. - FLOOR(x) : x 를 정수부까지 내림하여 반환한다. - ROUND(x, y) : x 를 소수 y 번째까지 반올림하여 반환한다. 단, y 생략시 정수부까지 반올림하여 반환한다. - TRUNCATE(x, y) : x 의 소수 y 번째 미만인 소수를 버리고 반환한다. - RAND(x) : 시드 값 x 를 활용하여 0 이상 1 미만의.. 2024. 3. 6.
Maria DB 이론_ 06. 연산자 /* [비교 연산자] - = : a = b 꼴에서 a 와 b 가 같은가의 여부이다. 단, = 비교는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기 때문에 대소문자 확인이 필요한 경우 비교 대상 두개 이상에 BINARY 키워드를 선행하게하여 비교해야한다. 가령, BINARY a = BINARY b. - != 혹은 : a != b 혹은 a b 꼴에서 a 와 b 가 다른가의 여부이다. - > : a > b 꼴에서 a 가 b 보다 큰가에 대한 여부이다. - = : a >= b 꼴에서 a 가 b 이상인가에 대한 여부이다. - 패턴에서 _ 는 1 개의 아무 문자이다. - NOT LIKE : a NOT LIKE b 꼴에서 a 가 b 의 패턴에 부합하지 않는가의 여부.. 2024. 3. 6.